기본설계는 건설사업의 큰 틀을 잡는 단계이고, 실시설계는 이를 구체화해서 실제 시공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과정입니다. 다시 말해, 기본설계가 전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개념적인 작업이라면, 실시설계는 이를 바탕으로 세부 도면과 시방서를 작성하는 실무적인 설계입니다.

기본설계 실시설계 업무 구분
건설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설계용역을 발주하려고 합니다. 지난 문서등록대장들을 살펴보니, 기본설계와 실시설계가 나뉘어져 있기도 하고, 이 둘을 합쳐 기본 및 실시설계로 발주하기도 합니다. 담당자로서 어떤 용역을 발주해야할지 판단하려면, 기본설계와 실시설계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설계와 실시설계의 차이를 명확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기본설계
기본설계(Preliminary Design)는 건설사업 초기 단계에서 진행되는 설계로, 예비타당성조사 및 타당성조사를 기반으로 시설물의 규모, 배치, 형태 등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쉽게 말해, "이 위치에 어떤 시설을, 어떤 방식으로 지을 것인가?"를 구체화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본설계의 주요 내용
1. 사업의 기본 방향 설정
2. 시설물의 규모 및 배치 계획 수립
3. 개략적인 공사비 산출
4. 예상되는 공사 방법 및 기간 검토
5. 인·허가를 위한 기본적인 설계 수행
한마디로, 기본설계는 실시설계로 나아가기 위한 기초 작업이자, 사업의 큰 틀을 잡는 역할을 하는 건데요. 이 단계에서 결정된 사항들은 이후 세부적인 실시설계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그 방향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실시설계
실시설계(Detailed Design)는 기본설계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기술적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시공을 위한 상세 도면을 작성하고, 실제 공사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설계를 준비하는데요. 쉽게 말해, 기본설계가 "숲"이라면, 실시설계는 "나무"라 할 수 있습니다.
실시설계의 주요 내용
1. 구조 및 시공 방법 결정
2. 세부적인 공사비 산정
3. 공사 기간 및 일정 계획 확정
4. 시공을 위한 상세 도면 작성 (평면도, 단면도, 구조도 등)
5. 시방서, 내역서, 구조 및 수리 계산서 작성
실시설계는 실제 시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단계이므로, 공사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시공 후 유지관리까지 염두에 두고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기본설계와 실시설계의 차이 그리고 타당성조사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는 모두 설계의 중요한 과정이지만, 그 역할과 범위는 명확히 다릅니다. 그 차이를 다시 한 번 정리해보면요.
구분 | 기본설계 | 실시설계 |
목적 | 시설물의 개략적인 계획 수립 | 시공을 위한 구체적인 설계 수행 |
주요내용 | 규모, 배치, 공사방법 개략 검토 | 구조, 시공방법, 상세도면 작성 |
결과물 | 개략 설계도서, 개략 공사비 | 상세도면, 시방서, 내역서 |
쉽게 말해, 기본설계는 "어떤 것을 만들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실시설계는 "이제 실제로 어떻게 만들 것인지 구체화하는 단계"라고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말나온김에 타당성조사도 비교해볼게요.
타당성조사는 추진하려는 건설사업에 대해서 계획수립 이전에 경제, 기술, 사회 및 환경 등 종합적인 측면에서 적정성을 검토하는 용역인데요. 결국, 타당성조사 → 기본설계 → 실시설계의 순으로 진행된다고 보시면 정확하게 이해하신 겁니다.


지금까지 기본설계, 실시설계 그리고 타당성 조사까지 각 용역 단계별 차이점을 살펴보았는데요. 각각의 역할이 명확하기에, 설계 단계별 특징을 명확히 파악하고, 설계가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꼼꼼히 검토하시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