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면접(토목) #9 콘크리트 균열 원인과 대책
안녕하세요. 토목직 공무원입니다.
토목직 공무원 면접에
가장 자주 등장하는 소재는 바로 콘크리트입니다.
어떤 토목공사에서든 콘크리트가 항상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인데,
오늘은 콘크리트 관련 기출문제 중
콘크리트의 균열원인과 그 대책을 설명하는 문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크리트의 균열원인과 그 대책을 설명하시오
콘크리트의 균열원인은 무수히 많이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침하 균열, 초기 건조수축 균열, 건조 수축에 의한 균열이 있습니다.
① 침하균열

침하균열은 크기와 비중이 서로 다른 재료들이 분리되어
콘크리트의 표면에 전단력이 작용해서 발생하는 균열입니다.
균열이 발생한 후 적당한 시기에
태핑과 흙손질로 대부분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② 초기 건조수축
초기 건조수축 균열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그 표면에서 물의 증발량이 블리딩 양보다 많게 되면
표면에 인장응력이 작용하는데
이 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보다 큰 경우에 균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여름철이나 바람이 강하게 불 때는
흙손마무리 후 충분한 양생을 하고
타설 후 어느 정도 굳기 시작하면 습윤양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도록
가림막을 설치해서 균열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③ 건조수축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은

콘크리트 타설 후 시간이 지나면서
콘크리트 중의 물이 증발하여 체적이 감소해서 발생하는 균열입니다.
이 균열은 건조수축량을 적게 하면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중의 물과 시멘트량을 가능한 한 적게 하거나
팽창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3개를 다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
끝.
댓글